비즈

Z세대가 꼽은 최고의 복지와 최악의 복지 실태 공개

 Z세대 취업 준비생들에게 회사 선택의 결정적 기준은 무엇일까?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1,530명의 Z세대 취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이들 중 무려 90%가 '입사 지원 시 복지제도를 중요하게 고려한다'고 응답했다. 반면 복지제도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단 10%에 불과했다. 이는 Z세대에게 복지제도가 단순한 부가혜택이 아닌, 기업 선택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음을 보여준다.

 

Z세대가 가장 선호하는 복지 유형은 '금전적 보상'으로 전체 응답의 51%를 차지했다. 이어서 근무환경 및 문화(20%), 휴가제도(18%), 생활지원(6%), 성장지원(3%), 건강·심리 복지(2%)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Z세대가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혜택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Z세대가 꼽은 '최고의 복지' 1위는 '성과급'으로 41%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는 Z세대가 자신의 노력과 성과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중요시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2위는 '주4일제'(19%), 3위는 '자율휴가'(14%)로, 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Z세대의 가치관이 반영된 결과다. 이 외에도 여름·겨울방학(7%), 생활비 지원(6%), 재택·자율근무(5%), 식사 제공(4%), 기숙사·사택 제공(4%) 등이 선호하는 복지로 꼽혔다.

 


반면, Z세대가 생각하는 '최악의 복지' 1위는 체육대회나 워크숍과 같은 '의무 참석 행사'로 37%의 응답률을 보였다. 이는 강제성을 띤 단체 활동에 대한 Z세대의 거부감을 드러낸다. 2위는 주5일제나 4대보험과 같은 기본적인 사항을 복지로 안내하는 경우(22%), 3위는 퇴근 후 행사(18%)로 나타났다. 또한 활용도가 낮은 소액 복지(10%), 대상이 제한된 복지(7%), 원치 않는 굿즈나 저가형 선물(6%) 등도 최악의 복지로 지목됐다.

 

Z세대가 앞으로 새롭게 도입되기를 바라는 복지 1위는 '비혼·미혼 지원'으로 31%의 응답률을 기록했다. 이는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모든 직원이 공평한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Z세대의 인식을 반영한다. 2위는 PT나 마사지 등 '건강 케어'(25%), 3위는 직무 순환이나 교육비 지원과 같은 '커리어·자기계발'(18%) 관련 복지였다. 이 외에도 워라밸 강화(17%), 이색체험·행사(4%), 반려동물 케어(4%)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진학사 캐치의 김정현 본부장은 "복지는 Z세대의 지원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라며 "기업은 보유한 복지제도가 실제로 구성원에게 어떻게 체감되는지, 조직의 근무 특성과 세대별 요구를 반영하고 있는지 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Z세대가 단순히 높은 연봉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성과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일과 삶의 균형, 자율성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업들은 이러한 Z세대의 특성을 이해하고, 그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복지제도를 마련하는 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